가장 많은 신뢰를 받는 컴퓨터를 구하는 문제이다.
A가 B를 신뢰할 때, B를 해킹하면 A도 해킹할 수 있다. 그런데 이 조건의 경우 A가 B를 신뢰하고 C가 B를 신뢰한다면 A를 해킹하면 B를 해킹할 수 있고 B를 해킹했으므로 C도 해킹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.
따라서 한 컴퓨터를 신뢰하는 컴퓨터를 신뢰하는 컴퓨터의 수를 알아야 그 컴퓨터를 해킹했을 때
해킹할 수 있는 모든 컴퓨터의 수를 구할 수 있다.
배열을 통해 신뢰 관계를 나타내고 visitComputer() 이라는 메소드로 자기를 신뢰하는 컴퓨터의 총 수를 구하는 연산을 맡길 생각이다.
자세한 구현은 내일 해보기로!
'1일 1알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1.11.20] 백준 1325 효율적인 해킹 -진행중 (0) | 2021.11.20 |
---|---|
[2021.11.19] 백준 1325 효율적인 해킹 -진행중 (0) | 2021.11.20 |
[2021.11.17] 백준 8979 올림픽 -성공 (0) | 2021.11.17 |
[2021.11.16] 백준 8979 올림픽 -진행중 (0) | 2021.11.16 |
[2021.11.15] 백준 8979 올림픽 -진행중 (0) | 2021.11.15 |